기후변화센터의 병설기구인 아시아녹화기구는
동북아 사막화 방지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창립된 민간주도형 산·관·산·학 국제협력기구로
「한반도녹화계획(Green Korea Project)」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생태계
복원과 동북아
환경공동체 건설
황폐화 산지복원과
사막화 방지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역량 제고
임농복합경영 방식의 녹화
사업을 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남북
공생의 경제협업을 선도
국내외 시민사회, 기업계,
학계, 정부기관, 국제기구를
연결하는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공공캠페인을 통해
산림·에너지 녹화와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대중 인식 제고
고건 | 아시아녹화기구 운영위원장 |
---|---|
윤영균 | 아시아녹화기구 상임대표 |
김동근 | 前 산림청장 |
---|---|
김필주 | 평양과학기술대학 학장 |
이세중 | 환경재단 명예이사장 |
이장무 | (재)기후변화센터 고문(前 KAIST 이사장) |
강창희 | (재)기후변화센터 명예이사장(前 국회의장) |
---|---|
김동구 | 백제약품 회장 |
박병원 | 한국경영자총협회 명예회장 |
---|---|
박영주 | 이건산업 회장 |
손삼호 | 사랑실은 교통봉사대 대장 |
양호승 |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KCOC 회장(前 월드비전 회장) |
유영숙 | (재)기후변화센터 이사장(前 환경부 장관) |
이우균 |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
이종훈 | 前 중앙대학교 총장 |
정연규 | 한국양묘협회 회장 |
조건식 | 한라대학교 동북아경제연구원 원장(前 통일부 차관) |
조상호 | ㈜나남 회장 |
최홍건 | 前 한국산업기술대 총장 |
허신행 | 한몸사회포럼 대표(前 농림수산부 장관) |
한반도 전역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통한 지속가능한 삶이 가능하도록 임농복합 녹화사업을 추진
푸른 한반도 만들기 국민모금
아시아녹화기구는 한국의 치산녹화 경험과 북한의 산림녹화 계획을 접목한 ‘양묘-조림-연료-식량’을 체계적으로 연결시킨 임농복합 패키지 계획으로 북한 주민들이 나무를 심으면서 식량을 해결하고 소득을 올려 생활이 개선되는 농촌지역 사회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반도녹화추진위원회는 기후변화센터의 병설기관으로
2014년 3월 설립된
`아시아녹화기구’ (운영위원장
고건 (전) 국무총리 )의 한반도녹화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사회 오피니언 리더 492명이
한반도녹화추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성공적인 치사녹화 경험을 바탕으로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그린코리아’ 를 만드는데 힘을 모아 주세요.
한반도녹화 추진위원회의 연회비는 10만원입니다.
연회비는 연말소득공제 혜택이 가능하며, 지속가능한 녹색한반도 건설을 위해 양묘장 조성,
영농자재 공급, 인적역량개발, 산림병해충방제, 대체에너지 지원, 연구사업 등에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