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센터의 병설기구인 아시아녹화기구는
동북아 사막화 방지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창립된 민간주도형 산·관·산·학 국제협력기구로
「한반도녹화계획(Green Korea Project)」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VISION & MISSION

VISION
민간주도형 국제협력기구로서 동북아 산림·에너지 녹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녹색 한반도를 건설하고 아시아 기후변화 대응 역량 제고
  1. Mission.01

    한반도 생태계
    복원과 동북아
    환경공동체 건설

  2. Mission.02

    황폐화 산지복원과
    사막화 방지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역량 제고

  3. Mission.03

    임농복합경영 방식의 녹화
    사업을 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남북
    공생의 경제협업을 선도

  4. Mission.04

    국내외 시민사회, 기업계,
    학계, 정부기관, 국제기구를
    연결하는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5. Mission.05

    공공캠페인을 통해
    산림·에너지 녹화와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대중 인식 제고

아시아녹화기구 운영위원회

고건 아시아녹화기구 운영위원장
윤영균 아시아녹화기구 상임대표

공동대표

김동근 前 산림청장
김필주 평양과학기술대학 학장
이세중 환경재단 명예이사장
이장무 (재)기후변화센터 고문(前 KAIST 이사장)

운영위원

강창희 (재)기후변화센터 명예이사장(前 국회의장)
김동구 백제약품 회장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명예회장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손삼호 사랑실은 교통봉사대 대장
양호승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KCOC 회장(前 월드비전 회장)
유영숙 (재)기후변화센터 이사장(前 환경부 장관)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이종훈 前 중앙대학교 총장
정연규 한국양묘협회 회장
조건식 한라대학교 동북아경제연구원 원장(前 통일부 차관)
조상호 ㈜나남 회장
최홍건 前 한국산업기술대 총장
허신행 한몸사회포럼 대표(前 농림수산부 장관)

한반도 녹화계획 · GREEN KOREA PROJECT

지속 가능한
녹색 한반도 건설

한반도 전역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통한 지속가능한 삶이 가능하도록 임농복합 녹화사업을 추진

  • 양묘 · 조림· 연료 ·식량을
    잇는 임농복합 녹화사업
  • 현지인력
    역량개발사업
  • 기술개발 및
    국제협약 연계사업 연구
  • 민 · 관 · 학
    녹색 네트워크 구축

푸른 한반도 만들기 국민모금

임농복합 패키지

아시아녹화기구는 한국의 치산녹화 경험과 북한의 산림녹화 계획을 접목한 ‘양묘-조림-연료-식량’을 체계적으로 연결시킨 임농복합 패키지 계획으로 북한 주민들이 나무를 심으면서 식량을 해결하고 소득을 올려 생활이 개선되는 농촌지역 사회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방향

  • · 양묘 - 조림 - 식량 - 연료를 체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패키지 계획으로 추진
  • · 국내외 단체가 기존에 활동했던 지역을 협력사업으로 지원하여 프로젝트 간 연계성을 제고하여 사업성과를 극대화
  • · 임농복합 사업을 UN기후변화대응사업 및 국제기구의 인도적 식량 지원 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추진
  • · 민간에서 먼저 성공적 시범사례를 구축하고 남북 정부 간 신뢰확보의 기반을 조성
임농복합경영 패키지(양묘, 식량, 연료, 조림)

한반도녹화추진위원회

한반도녹화추진위원회는 기후변화센터의 병설기관으로
2014년 3월 설립된
`아시아녹화기구’ (운영위원장
고건 (전) 국무총리 )의 한반도녹화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사회 오피니언 리더 492명이
한반도녹화추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성공적인 치사녹화 경험을 바탕으로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그린코리아’ 를 만드는데 힘을 모아 주세요.

연회비 안내

한반도녹화 추진위원회의 연회비는 10만원입니다.
연회비는 연말소득공제 혜택이 가능하며, 지속가능한 녹색한반도 건설을 위해 양묘장 조성,
영농자재 공급, 인적역량개발, 산림병해충방제, 대체에너지 지원, 연구사업 등에 사용됩니다.

가입신청서 받기